본문 바로가기

야구, 그깟 공놀이/공인구3

야구는 타자 놀음인가, 투수 놀음인가 예전부터 야구를 좋아하는 팬들은 투수가 먼저냐, 타자가 먼저냐에 대해서 논쟁하는 걸 즐겨했다. 그리고 양측의 주장이 모두 일리가 있었는데 요즘 들어서 이유는 모르겠지만 다시 야구는 타자가 먼저냐, 투수가 먼저냐라는 글들이 많이 올라와서 해당 내용으로 포스팅하려고 한다. 측 - 투수가 아무리 잘 막아봤자 점수가 나지 않으면 이길 수가 없다. 측 - 타자가 아무리 점수를 내봐야 투수가 막지 못하면 이길수가 없다. 해당 내용에 대해서 필자는 확률에서의 판단과 실제 야구에서의 판단을 가지고 글을 작성하겠다. 1. 확률에서의 판단 야구는 불공정한 운동장이다. 3할을 칠 수 있는 타자는 타격에 눈을 떴다, 즉 타격에 통달한 타자라고 이야기한다. 투수상대로 공을 10번 중에 3번을 쳐서 페어지역에서 수비수가 없는 곳.. 2023. 11. 29.
피칭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야구를 오래 본 팬이라면 [피칭 코디네이터]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 엘지팬이라면 차명석 단장을 통해서 [피칭 디자인]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도대체 이게 뭐길래 그렇게 중요하게들 생각하는 건가. 다들 중요하다고 말만 하지 어째서 중요한지에 대해서 설명이 없으니 오늘은 [피칭 디자인]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겠다. 1. 피칭이란? 피칭은 매우 간단하다. 투수가 공을 잡고, 포수를 향해서 던지면 된다. 그렇다면 좋은 피칭은 무엇인가? 좋은 피칭은 투수가 포수를 향해 던진 공이 타자의 배트에 맞지 않거나, 배트에 빗맞아서 다양한 방법으로 아웃카운트를 늘리는 행동이다. 효과적인 피칭은 무엇인가. 좋은 피칭을 얼마나 적은 수의 투구로 행할 수 있는가이다. 여기서부터 피칭 디.. 2023. 11. 16.
안타는 쓰레기일까? 언젠가부터 OPS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볼넷"과 "홈런"에 대한 인식이 어마어마하게 올라간 반면, "단타"에 대해서 인식이 좋지 않다. 그래서 해당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먼저 wOBA라는 스탯이 있다. 해당 스탯의 공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Run Expectancy, 즉 기대득점을 먼저 계산해야 한다. 기대득점을 구한 이후에 Run Value, 득점가치를 구해야 하는데 이 득점가치는 아래와 같다. [득점 가치 = 종료 시점의 기대 득점 - 시작 시점의 기대 득점 + 이벤트로 인한 실제 득점] 하나하나 스탯을 모두 구해서 계산을 해보면 좋겠지만, 인터넷에 검색만 해봐도 쉽게 볼 수 있는 스탯들을 굳이 직접 계산을 할 필요가 없기에 인터넷에 득점가치를 검색했다. 그래서 검색한 이벤트별.. 2023. 11.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