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PS4

기아 타이거즈 팬도 모르는 김선빈에 대한 오해 같은 팀을 응원한다고, 모두 선수를 보는 기준과 시선이 같지 않기 때문에 선수들에 대한 오해가 쌓이고, 그런 오해들이 쌓여서 선수에 대한 평판이 되고 여론이 된다.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라고 근거도 빈약한 이야기들이 가담항설이 되어서 여기저기서 김선빈에 대한 저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오늘은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1. 김선빈은 유리몸이다. 김선빈은 2016년 군 제대 이후로 시즌당 120게임은 보장되는 선수다. 실제로 군 제대 이후 2017 시즌을 기준으로 시즌당 평균 122게임을 출전했으며 같은 기간동안 기아 타이거즈뿐만 아니라 KBO 전체를 보더라도 많은 경기에 출전한 걸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김선빈이 유리몸이기 때문에 2~3년 계약을 해야 한다는 몇몇 팬들의 이야기는 허무맹랑한.. 2023. 12. 12.
안타는 쓰레기일까? 언젠가부터 OPS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볼넷"과 "홈런"에 대한 인식이 어마어마하게 올라간 반면, "단타"에 대해서 인식이 좋지 않다. 그래서 해당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먼저 wOBA라는 스탯이 있다. 해당 스탯의 공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Run Expectancy, 즉 기대득점을 먼저 계산해야 한다. 기대득점을 구한 이후에 Run Value, 득점가치를 구해야 하는데 이 득점가치는 아래와 같다. [득점 가치 = 종료 시점의 기대 득점 - 시작 시점의 기대 득점 + 이벤트로 인한 실제 득점] 하나하나 스탯을 모두 구해서 계산을 해보면 좋겠지만, 인터넷에 검색만 해봐도 쉽게 볼 수 있는 스탯들을 굳이 직접 계산을 할 필요가 없기에 인터넷에 득점가치를 검색했다. 그래서 검색한 이벤트별.. 2023. 11. 15.
투승타타가 중요한 이유 - 타자편 예전에 모사이트에서 야구 게시판에 관련된 칼럼과 글을 계속 쓰던 때, 세이버 메트리션들이 가공한 자료들에 대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무런 저항 없이 받아들이기만 했지, 통계의 맹점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세이버 지표에 대한 공격을 곧 나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는" 세이버 메트리션들과 물아일체의 경지에 이른 사람들이 꽤 많았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게시판 유저 중 한 사람이 있다. 그는 OPS 만능론을 펼쳤었는데, OPS의 맹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더니 그 이후부터는 필자의 격렬한 안티가 되었었다. 이유는 모르겠는데 세이버 스탯의 맹점을 이야기하면 본인을 공격한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서 예로부터 세이버 스탯과 클래식 스탯에 대해서는 웬만하면 논하지 않으려고 했는데, 오랜만에 야구 칼럼을 공개적인.. 2023. 11. 10.
플라이볼 혁명 - 발사각의 허상 플라이볼 혁명, 속칭 발사각은 미국에서 유행처럼 번져나가 한국에 들어오게 되었다. 특정 문화나 특정 이론이 바다를 건너오게 되면 원래의 의도와 다르게 변질되는 경우가 많은데 다들 문화나 이론에 대한 큰 고민 없이 무작정 받아들이게 된다. 그렇게 변질된 문화나 이론에 대한 반대 주장은 언제나 빛을 보지 못한다. 그래서 준비했다. 플라이볼 혁명은 과연 올바른 것인가? 야구에서 타격이란 "방망이에 공을 맞혀서 빈 공간에 공을 보내는 행위이다." 야구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오면서 관습적으로 타구가 많이 날아가는 위치에 전통적인 포지션의 수비수들이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구종과 코스, 그리고 타자의 스윙 궤적을 통해서 예상되는 낙구 지점에 포지션 상관없이 수비수들이 자리를 잡는 게 현재 유행하고 있는 시프트이다... 2023. 11. 3.
728x90